[스크랩] 차향이제(茶香二題) - 차(茶) 명상 차향이제(茶香二題) - 차(茶) 명상 ▲ 초당독서도 (이명기) Ⅰ. 여음(餘音) Ⅱ. 차를 다리네 가슴으로 마시는 향기 마음 속 풀리네 고운 님 더불어 햇살 번진 뜨락 연초록 바람 머무는 자리 목마름 달가워라 그리운 자리 숨소리 은은한 차를 다리네 지창으로 얼비치는 그림자 하나 아득한 밤하늘의 별을 .. 카테고리 없음 2008.11.24
[스크랩] 차향이제(茶香二題) / 황병기 작곡 차향이제(茶香二題) 작사 : 박경선 작곡 : 황병기 노래 : 윤인숙 장구 : 권성택 가야금 : 이지영 연주 : 17현 차(茶)를 주제로 한 박경선의 두 수의 시에 곡을 붙이고 이를 하나로 묶어서 <차향이제(茶香二題)>라 이름했다. 반주는 17현 가야금과 장구로 되었다. 노래에 앞서 가야금과 장구가 도입의 역.. 카테고리 없음 2008.11.24
[스크랩] 『행복해지는 습관』...마음으로 올리는 육법공양 『행복해지는 습관』 정무 스님의 사람 사는 이야기... 사기순 엮음 1장. 행복은 어디에서 오는가? 마음으로 올리는 육법공양(六法供養) 부처님께서 “법공양은 부처님의 가르침대로 수행하는 것이며, 중생을 이롭게 하고 구하려는 보살의 뜻을 저버리지 않는 것이며, 깨닫고자 하는 마음을 잃지 않는 .. 카테고리 없음 2008.11.24
[스크랩] 기공자료 "경전은 그냥 가지고만 있으면 쓰레기요, 머리 속에 넣어 두기만 한다면 큰 짐이 될 뿐, 나의 수행과 행함이 경전의 어디쯤에 가 있는가를... 카테고리 없음 2008.11.16
[스크랩] 화엄경 약찬게 (200) ** 화엄경 약찬게 ** 대방광불화엄경 용수보살약찬게 나무화장세계해 비로자나진법신 현재설법노사나 석가모니제여래 과거현재미래세 시방일체제대성 근본화엄전법륜 해인삼매세력고 보현보살제대중 집금강신신중신 족행신중도량신 주성신중주지신 주산신중주림신 주약신중주가신 주하신중주해.. 카테고리 없음 2008.11.03
[스크랩] 일상 발원문(發願文) 4 『가장행복한공부』 ○○○불자 발원(發願) 4 우주에 충만하사 아니 계신곳 없으신 부처님. 만유에 평등하사 두루 살펴 주옵시는 시방세계 부처님과 불보살님께 머리숙여 한 마음 한 뜻 되어 지극한 마음으로 발원 하옵나이다. 저희들은 지난날 무명의 구름에 가리워 탐욕스런 마음과 성내는 마음과 .. 카테고리 없음 2008.11.02
[스크랩] 일상 발원문(發願文) 3 『가장행복한공부』 ○○○불자 발원(發願) 3 거룩하신 부처님, 당신의 가르침에 경건히 머리 숙이옵나니. 당신은 사람이 잘 살고 못 살고는 신의 뜻이나 운명에 의한 것이 아니라 각자가 짓는 업의 과보임을 설하시어 스스로의 의지로 자기 인생을 힘차게 열어 나가게 하옵니다. 끝없이 되풀이 되는 .. 카테고리 없음 2008.11.02
[스크랩] 일상 발원문(發願文) 2 『가장행복한공부』 ○○○불자 발원(發願) 2 종성(鐘聲)이 울립니다. 새벽의 어스름을 걷우는 천 년의 무게가 무릎을꿇어 엎드린 우리의 잔등을 타고 퍼져 나갑니다. 손마디는 종소리의 고동을 따라 떨림을 멈추지 못하는데 아하, 세존이시여 이 가슴을 적셔오는 흥분의 열기는 무슨 까닭입니까. 팔.. 카테고리 없음 2008.11.02
[스크랩] 일상 발원문(發願文) 1 『가장행복한공부』 ○○○불자 발원(發願)1 거룩하신 부처님 무한한 지혜와 자비의 빛으로 저희들 마음의 어두움을 밝혀 주옵소서. 저희들이 지난 날 무명의 구름에 가리워 욕심과 성냄과 어리석음으로 지은 잘못을 참회하옵니다. 오랜 세월 동안 스스로 짓고 스스로 받은 인과의 도리를 알지 못하.. 카테고리 없음 2008.11.02
[스크랩] 말로 만든 악기 - 마두금(馬頭琴) 몽골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이미지는 바로 말(馬)입니다. ‘말 위에서 태어나 말 위에서 자라다가 말 위에서 죽는다’는 그네들의 속담이 말해주듯, 말의 젖을 발효시킨 마유주(馬乳酒)를 마시고, 말똥을 말려 연료로 사용하며, 말가죽으로 만든 신발을 신는 몽골민족에게 말은 역사이자 문화이고 .. 카테고리 없음 2008.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