非要事어든...
[본문]
非要事어든 不得遊州獵縣하야 與俗交通하야 令他憎嫉하고 失自道情이어다. 儻有要事出行이어든 告住持人과 及管衆者하야 令知去處하며 若入俗家어든 切須堅持正念하야 愼勿見色聞聲하고 流蕩邪心이어든 又况披襟戲笑하야 亂說雜事하며 非時酒食으로 妄作無碍之行하야 深乖佛戒리오. 又處賢善人의 嫌疑之間이면 豈爲有智慧人也리오.
[한문 분석]
非/ 要事어든 不得// 遊州/ 獵縣하야 與俗/ 交通하야 令他/ 憎嫉하고 失/ 自道情이어다. 儻有/ 要事/ 出行이어든 告/ 住持人과 及/ 管衆者하야 令知/ 去處하며 若入/ 俗家어든 切須/ 堅持/ 正念하야 愼/ 勿/ 見色/ 聞聲하고 流蕩/ 邪心이어든 又/ 况/ 披襟/ 戲笑하야 亂說/ 雜事하며 非時/ 酒食으로 妄作/ 無碍之行하야 深乖/ 佛戒리오. 又/ 處// 賢善人의 嫌疑之間이면 豈/ 爲/ 有智慧人/ 也리오.
[단어풀이]
要事: 긴요한 일.
遊州獵縣: 마을에서 놀고 사냥함.
與俗交通: 속인과 교제하다.
令他憎嫉: 다른 이로 하여금 증오와 질투를 (불러) 일으키다.
失自道情: 자신의 도를 닦으려는 마음을 잃어버리다.
儻有要事出行: 마땅히 중요한 일이 있어 나가게 되다.
住持: 사찰을 책임지고 있는 소임자.
管衆者: 대중을 관리하고 있는 사람. 일반적으로 결제기간에 대중들을 대표하여 관리하고 있는 사람.
去處: 머무를 곳.
俗家: 출가자에 대한 반대 개념인 속가.
切須: 부디 ~ 하지 않으면 안된다.
堅持正念: 올바른 마음을 굳건히 지님.
愼勿: ~해서는 안 된다의 강조.
見色聞聲: 경계를 보고 소리를 듣다.
流蕩邪心: 삿된 마음으로 흔들리다.
披襟戲笑: 옷깃을 걷어붙이고 희롱하며 웃다.
亂說雜事: 잡된 일들에 대하여 이리저리 말하다.
非時: 때가 아닌 때. 곧 점심 공양 이후.
酒食: 술과 음식.
妄作: 망령되게 행하다.
無碍之行: 거리낌 없는 행동
深乖佛戒: 심히 부처님의 계율을 어그러뜨리다.
處: 어떤 상태.
賢善人: 현명하고 착한 사람.
嫌疑之間: 혐의가 있음.
豈爲~也: 어찌 ~하다(있다)고 하겠는가.
有智慧人: 지혜가 있는 사람.
리오.
[한자풀이]
遊(놀 유. * ) 이 글자의 오른쪽 획은 <천으로 된 깃발 아래에 아이가 어슬렁거리고 있음>을 나타내고, 왼쪽 획은 <동작>을 나타내는 <책받침>입니다. 전체적으로 <아이가 여기저기 걸어 돌아다님>을 뜻하는 문자입니다.
예] 遊山(유산: 산을 즐겨 놂)
遊擊(유격: 전열로부터 떨어져서 불시에 적을 침)
州(고을 주. ) *
예]
獵(지날, 사냥할 렵. ) 이 글자의 왼쪽 글자는 <개 견犬>자인데, 부수에서 <동물>을 나타냅니다. 오른쪽은 <수가 많은 것>을 나타내는 글자입니다. 전체적인 뜻은 <숫자가 많은 짐승을 닥치는 대로 사냥함>을 뜻하는 문자입니다. 사냥을 뜻하는데 <개 견犬>자가 들어 있는 것은 옛날에 사냥을 갈 때 흔히 개를 데리고 갔기 때문입니다.
예] 獵銃(엽총: 사냥에 쓰이는 총)
獵場(엽장: 사냥하는 장소)
縣(끊어질, 고을 현. ) *
예]
與(더불 여. * ) 이 글자의 가운데 획은 <어금니 아牙>와 같은 모양으로 서로 물고 있음을 나타내고, 나머지 획은 <두 사람이 네 손으로 들어줌>을 뜻하는 문자입니다.
예] 與黨(여당: 내각을 조직하고 있는 정당; 행정부를 給與(급여: 월급을 줌)
俗(풍습, 속인 속. ) 이 글자는 <사람 인人>+<골 곡谷>자로 이루어진 문자인데, <사람이 골속으로 깊숙이 들어감>을 뜻하여 <관습에 젖음>을 뜻합니다.
예] 俗世(속세: 일반적인 인간의 세상)
俗歌(속가: 세상 일반에 유행하는 노래)
交(사귈 교. ) 이 글자는 <사람이 다리를 꼰 모양>을 그린 상형문자입니다. 따라서 이 글자는 <서로 교차함>을 뜻합니다.
예] 交換(교환: 서로 바꿈)
交流,(교류: 서로 뒤 섞여 흐름)
交易(교역: 서로 물건을 사고팔아 바꿈)
通(통할 통. ) 이 글자는 <나아감을 뜻하는 책받침>+<사람 인人>+<판자를 꼬쟁이로 뀀>으로 이루어진 문자로, <사람이 발로 판자를 밟아 뚫음>을 뜻하는 글자입니다.
예] 通學(통학: 학교에 다임)
通勤(통근: 직장에 다님)
令(하여금 령. * ) 이 글자의 윗 획인 삼각형의 모양은 <집합>을 뜻하고, 그 아래는 <사람 인人>자입니다. 전체적으로 이 글자는 <나라의 백성을 모아 신이나 군주의 명령(가르침)을 듣게 함>을 나타내는 글자입니다. 그리고 그 상태가 <맑고 아름다움>을 뜻하기도 합니다. 우리가 흔히 존귀한 사람의 아들딸을 <영식令息, 영애令愛>라고 일컫는 <영令>자가 바로 이러한 뜻을 나타내고 있는 것입니다. 이 글자가 <명령>이라는 뜻을 나타내고 있는 것은 <신의 가르침, 고함>이 파생된 것입니다.
예] 令夫人(영부인: 신분이 높은 사람의 부인)
令狀(영장: 관청이 발행하는 명령서)
憎(미울 증. ) *
예]
嫉(투기할 질. ) *
예]
失(잃을 실. ) 이 글자는 <손 수手>자의 약체에다 <빠져나감>을 뜻하는 <삐침⼂>을 더하여 <손에 쥔 것이 빠져 나감>을 뜻하는 문자이다.
예] 失禮(실례: 예를 잃음)
失望(실망: 바랐던 것을 잃음)
情(인정 정. ) 이 글자의 왼쪽 획은 <심상변>이고, 오른쪽 획은 <푸를 청>입니다. 전체적으로 <마음을 움직이게 하는 알맹이>를 뜻하는 문자입니다. 이 <푸를 청靑>자는 모든 사물의 정수를 나타내어 <맑디맑음>을 나타내는 글자입니다.
예] 情交(정교: 친한 사람, 남녀의 육체적 교접)
情談(정담: 다정한 이야기)
告(고할 고. ) *
예]
住(살 주. * ) 이 글자는 <사람 인人>+<임금 주主>로 이루어진 문자이며 <가만히 삶>을 뜻합니다.
예] 住所(주소: 사는 장소)
住宅(주택: 사는 집)
及(미칠 급. ) 이 글자는 <달아나는 사람의 등을 겨우 붙잡는 모양>을 나타낸 문자입니다. <미치다>라는 말은 <닿다>라는 뜻이지요.
예] 及第(급제: 과거 시험에 합격함)
及時雨(급시우: 때맞춰서 내리는 비)
管(맡을, 대롱 관. ) 이 글자는 <대 죽竹>+<벼슬 관官>으로 이루어진 문자입니다. <벼슬 관官>자가 <지붕 안에 집단적으로 모여 있음>을 뜻하는 글자인데, 여기에 <대 죽竹>자가 더해져서 <둥글게 전체적으로 미치다>라는 뜻과 <둥글고 통함>을 뜻하는 글자입니다.
예] 管理(관리: 일을 밭아서 처리함)
主管(주관: 책임을 지고 맡아 관리함)
管樂器(관악기: 입으로 불어서 관 속의 공기를 진동시켜 소리를 내는 악기)
去(갈 거. ) 이 글자는 앞의 <덮을 개蓋>자의 얘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뚜껑이 있는 단지>를 그린 상형문자입니다. 단지와 같이 <움푹 꺼짐>이 <뒤로 물러남>으로 전용되고, 이 뜻이 <가다>로 다시 전용된다.
예] 去來(거래: 사고팔고 함)
去年(거년: 지난 해)
切(끊을 절. ) 이 글자의 왼쪽 글자는 <일곱 칠七>자인데, 이글자의 본래 모양은 아래쪽이 굽지 않은 모양입니다. 즉, <막대를 세우고 칼을 가지고 중간을 가로지르는 오늘날의 열 십十자 모양>입니다. 그래서 <자르다>라는 뜻을 나타내는 글자였습니다만, 훗날에 와서 숫자인 <일곱>을 나타내는 글자로 쓰이게 되고, 본래의 <끊다, 자르다>라는 뜻을 나타내는 글자로는 사람들이 그다지 쓰지 않게 되자 여기에 <칼 도刀>자를 더하여 <일곱 칠七>+<칼 도刀>=<끊을 절切>자를 만들어 본래의 뜻인 <끊음>을 나타내는 글자로 쓰고 있는 것입니다.
예] 切斷(절단: 끊음)
切實(절실: 실제에 꼭 맞음)
堅(굳을 견. * ) 이 글자의 윗 획은 <임금 앞에 앉아 몸을 긴장하고 두려워하는 모양>을 나타낸 획이며, 여기에 <흙 토土>를 더해 <굳은 모양>을 뜻하고 있습니다.
예] 堅固(견고: 단단해서 부서지지 않음)
堅持(견지: 생각이나 태도를 바꾸지 않음)
持(가질 지. ) 이 글자의 왼쪽 획은 <손 수>이고, 오른쪽 글자는 <절 사寺>자입니다. 이 글자는 <갈 지之(그칠 지止)>+<마디 촌寸>으로 이루어진 문자인데, <손과 발>을 뜻하는 글자로, 즉 <일을 함>을 나타내는 글자였습니다. <갈 지之>자와 <그칠 지止>자는 다같이 발을 뜻하는 글자입니다. <손과 발>은 언제나 <일을 하는 신체기관>이기 때문에 바로 그 기능을 나타내고 있지요. 이 글자에다 <사람인변⺅>을 붙이면 <모실 시侍>자가 됩니다. 즉 귀인의 심부름꾼이 귀인의 명령을 기다리고 명령대로 일을 하는 내용을 나타내는 글자입니다. 또 <두인변⼻>을 붙여 보세요. <기다릴 대待>자가 되지요. 바로 귀인의 명령에 따라 <일을 하기 위해 기다림>을 뜻하는 글자입니다. 이렇게 뜻하다가 이 글자는 <일을 하는 기관인 행정관청>을 뜻하게 되었고, 이 행정관청은 인도에서 중국에 온 스님이나, 또 가져온 불경을 한문으로 번역하는 학자들이 일을 하고 침식하는 장소가 되었습니다. 그것이 그대로 오늘날까지 이어져서 스님들의 수행 장소(寺)가 된 것입니다. 이 글자에다 <손 수>를 붙이면 <가질 지持>자가 되는데, <손에 가만히 가짐>을 뜻하는 문자입니다.
예] 持久力(지구력: 오래 가지는 힘)
持論(지론: 평소부터 가진 의견)
正(바를 정. ) 이 글자는 <목표점을 뜻하는 ⼀>+<그칠 지止>로 이루어진 문자인데, <목표점을 향해 곧장 발을 옮김>을 뜻하는 글자입니다. 이 <그칠 지止>자는 <갈 지之>자와 함께 <사람의 발>을 뜻합니다. <발>은 두 가지 기능이 있는데 그 하나는 <걷는 것>이고 또 하나는 <몸을 가만히 지탱하여 서는 것>입니다. 따라서 <갈 지之>자와 <그칠 지止>자는 같은 모양에서 출발하여 변형된 글자입니다.
예] 正直(정직: 마음이 곧고 바름)
正當(정당: 도리에 맞고 바름)
勿(말 물. ) 이 글자는 <여러 색깔의 헝겊으로 만든 깃발이 바람에 휘날리는 모양>을 그린 문자입니다. 여러 깃발이 바람에 휘날리는 모양이 어지럽게 하는데서, <잘 모르다>라는 뜻을 나타내며, 이 뜻이 파생되어 <말다>라는 뜻을 나타내게 되었습니다.
예] 勿論(물론: 말할 것도 없음)
流(흐를 류. * ) 이 글자의 오른쪽 변의 윗 획은 <갓난아기가 어머니의 뱃속으로부터 머리를 내미는 모양>을 나타내는 모양입니다. 즉 <기를 육育>자의 윗 획과 같은 획입니다. 다음 그 아래의 획은 아이를 낳을 때 흘러나오는 <양수羊水>를 나타내는 획입니다. 여기에 <물 수水>자를 더하여 <흘러 확산함>을 뜻하는 문자가 되었습니다.
예] 流失(유실: 물에 떠내려가서 없어짐)
流産(유산: 임신 후 태아가 죽어서 태어남>)
蕩(흐르게 할 탕. ) 이 글자는 <풀 초艸>+<더운물 탕湯>으로 이루어진 문자로, 끓는 물이 일렁이는 모양을 큰물로 비유시켜, <큰물로 초목이 흔들림>을 뜻하는 글자입니다.
예] 蕩平(탕평: 세상의 흔들림을 평정함)
蕩心(탕심: 마음이 혼미하여 본심을 잃음)
邪(간사할 사 ) *
예]
况(상황 황. ) 이 글자의 오른쪽 글자는 <맏 형兄>자 인데, 이 글자는 <머리가 큰 아이, …보다 더 크다>를 뜻하는 글자입니다. 여기에 <삼 수>를 더하여 <물이 점점 불어남>을 뜻하는 문자가 되었습니다.
예] 狀況(상황: 놓여있는 상태)
實況(실황: 실제의 상황)
況且(황차: 하물며)>를 뜻하는 황차,
比況(비황: 서로 비유함)
披(나눌 피. ) *
예]
酒(술 주. ) 이 글자의 오른쪽은 <술을 담근 단지 속에서 향기가 새어 나옴>을 그린 문자인데, 본래는 <술을 거르는 것>을 의미하다가 <일족을 죄어 거느리는 우두머리>라는 뜻으로 많이 쓰이게 되자, 이 글자에 <삼수변>을 붙여서 <술>을 나타내는 글자로 쓰이게 되었습니다.
예] 酒肴(주효: 술과 안주)
酒癖(주벽: 술버릇)
妄(망녕될 망. ) *
예]
作(지을 작. ) 이 글자의 오른쪽 획은 <재료에 칼자국을 내는 모양>을 그린 상형문자이고, 여기에 <사람 인人>자를 더하여, 전체적으로 <인위적인 것을 더함>을 뜻하는 문자가 되었습니다.
예] 作文(작문: 글을 지음)
作曲(작곡: 음악의 곡을 지음)
碍(거리낄 애. ) 이 글자는<돌 석石>+<재물을 뜻하는 조개 패貝>+<손을 뜻하는 마디 촌寸>으로 이루어진 문자로, <나아감(얻음)에 걸림돌>을 뜻하는 글자입니다.
예] 障碍(장애: 나아가는데 걸림이 됨)
碍子(애자: 전선을 지주와 띄우기위해 만든 절연체)
乖(어그러질 괴. ) 이 글자의 중앙부분은 양의 뿔이 좌우로 나눠진 모양이고, 그 양쪽은 두 갈래로 나눠진다는 표시로서, 전체적으로 <두 갈래로 나눠짐>을 나타내는 문자입니다. 좌우로 나뉘어 거는 뜻을 나타내는 <걸 괘掛>자나 밭을 좌우로 나누는 두둑 길을 의미하는 <갈피 휴畦>자와 같은 계통의 글자입니다.
예] 乖離(괴리: 서로 등져서 떨어짐)
乖反(괴반: 어그러짐, 벗어남)
嫌(싫을 혐. ) 이 글자의 왼쪽 글자는 <계집 녀女>자이고, 오른쪽 획은 <벼 화禾자 두 자>를 나타내어, <연속>을 뜻하는 글자입니다. 전체적으로 <여성에게 있음직한, 이것저것 신경을 써서 생각이 복잡하게 이어져서 실행을 어렵게 함>을 나타내는 글자입니다.
예] 嫌忌(혐기: 싫어서 꺼림)
嫌惡感(혐오감: 싫어하고 미워하는 느낌)
豈(어찌 기. ) *
예]
智(지혜 지. ) *
예]
慧(슬기로울 혜. ) 이 글자는 <살별 혜彗>+<마음 심心>으로 이루어진 문자로, <마음이 섬세하게 활동함>을 뜻하는 글자입니다.
예] 智慧(지혜: 슬기로운 마음)
慧眼(혜안: 사물을 밝게 보는 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