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스크랩] 초기불교 빨리어 예불문(대한불교대학)

무한대자유 2016. 3. 2. 15:00

Tisaraṇa (띠사라나)

 

 

 

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

나모- 땃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삼붓닷사. (3번)

 

Buddahaṁ saraṇaṁ gacchāmi

붓당 사라낭 갓차-미

Dhammaṁ saraṇaṁ gacchāmi

담망 사라낭 갓차-미

Saṅghaṁ saraṇaṁ gacchāmi

상강 사라낭 갓차-미

 

Dutiyampi Buddahaṁ saraṇaṁ gacchāmi

두띠얌삐 붓당 사라낭 갓차-미.

Dutiyampi Dhammaṁ saraṇaṁ gacchāmi

두띠얌삐 담망 사라낭 갓차-미.

Dutiyampi Saṅghaṁ saraṇaṁ gacchāmi

두띠얌삐 상강 사라낭 갓차-미.

 

Tatiyampi Buddahaṁ saraṇaṁ gacchāmi

따띠얌삐 붓당 사라낭 갓차-미.

Tatiyampi Dhammaṁ saraṇaṁ gacchāmi

따띠얌삐 담망 사라낭 갓차-미.

Tatiyampi Saṅghaṁ saraṇaṁ gacchāmi

따띠얌삐 상강 사라낭 갓차-미.

 

-1-

 

 

삼 귀 의

 

 

그분 존귀하신 번뇌로부터 떠나신분,

스스로 깨달음을 이루신 분을 존경합니다.

 

붓다(부처님)를 의지하여 가겠습니다.

 

담마(진리)를 의지하여 가겠습니다.

 

상가(제자들)를 의지하여 가겠습니다.

 

 

두 번째도 붓다(부처님)를 의지하여 나가겠습니다.

 

두 번째도 담마(진리)를 의지하여 나가겠습니다.

 

두 번째도 상가(제자들)를 의지하여 나가겠습니다.

 

 

세 번째도 붓다(부처님)를 의지하여 나가겠습니다.

 

세 번째도 담마(진리)를 의지하여 나가겠습니다.

 

세 번째도 상가(제자들)를 의지하여 나가겠습니다.

 

-2-

 

 

1. Ratanattaya vandanā(라따낫따야 완다나-)

 

 

yo so bhagavā arahaṁ sammā sambuddo,

요-소- 바가와- 아라항 삼마-삼부도-.

 

Svakkhā-to- yena bhagavatā dammo

스왁-카-또 예-나 바가와따- 담모-.

 

Supaƫipanno yassa bhagavato sāvakasaṅgho,

수빠띠빤노- 얏사 바가와또- 사-와까상고-.

 

Tammayaṁ bhagayantaṁ sadhammaṁ sasaṅghaṁ

땀마양 바가완땅 사담망 사상강

 

Imehi sakkārehi yathārahaṁ āropitehiabhipūjayāma.

이메-히 삭까-레-히 야타-라항 아-로-삐떼-히 아비뿌-자야-마.

 

Sadhu no bante bhagavā suciraparinibbutobi

사-두 노- 반떼- 바가와- 수찌라빠리닙부또-삐,

 

Pacchimājanatānukampamānasā,

빳차마-자나따-누깜빠마-나사-,

 

Ime sakkāre duggatapannākārabhūte patiggaṇhātu

이메-삭까-레- 둑가따빤나-까-라부-떼- 빠띡간하-뚜.

 

amhākaṁ dīgattaṁ hitāya sukhāya.

암하-깡 디-가랏땅 히따-야 수카-야.

 

Arahaṁ sammāsambuddho,

아라항 삼마-삼붓도- 바가와,

 

buddhaṁ bhagayantaṁ abhiyādemi

붓당 바가완땅 아비와-데-미.

                                    (큰 절)

-3-

 

 

1. 삼보에 대한 예찬

 

 

그 분, 존귀하신 분, 모든 번뇌 부터 떠나신 분,

 

스스로 완전한 깨달음을 이루신 분,

 

부처님에 의해 잘 설해진 위없는 담마.

 

진지하게 수행하는 부처님 제자인 상가.

 

이러한 부처님과 담마와 상가에

 

저희들은 진정한 존경심으로 최상의 예경 올립니다.

 

비록 존경하는 부처님께서는 완전한 닙바나에 드셨지만,

 

제자들을 연민히 여기시어,

 

저희들의 공손한 예를 받아 주소서.

 

모든 번뇌 떠나시고 스스로 완전한 깨달음을 이룬 존귀하신 분,

 

그 존귀하신 부처님께 머리 숙여 최상의 예배드립니다.

                                                                          (큰 절)

-4-

 

 

Svakkhā-to- bhagavatā dammo

스왁-카-또- 바가와따- 담모-,

 

dammaṁ namassāmi.

담망 나맛사-미.                                      (큰 절)

 

Supaƫipanno bhagavato sāvakasaṅgho,

수빠띠빤노- 바가와또- 사-와까상고-.

 

saṅghaṁ namāmi.

상강 나마-미.                                           (큰 절)

 

 

2. pubbabāganamakkārapāțha

 

(뿝바바-가나막까-라빠-타

 

 

[인도자]

Handa mayaṁ buddhassa bhagavato pubbabhāganamarā

karoma se.

한다 마양 붓닷사 바가와또- 뿝바바-가나막까-랑 까로마-세.

 

[대중]

Namo tassa bagavato arahato sammāsambuddassa.

나모- 땃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삼붓닷사.

 

Namo tassa bagavato arahato sammāsambuddassa.

나모- 땃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삼붓닷사.

 

Namo tassa bagavato arahato sammāsambuddassa.

나모- 땃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삼붓닷사.

-5-

부처님에 의해 잘 설해진 위없는 담마,

그 담마에 머리 숙여 예배드립니다.

                                                         (큰 절)

부처님을 따라 잘 수행하는 제자들인 상가,

그 상가에 머리 숙여 예배드립니다.

                                                          (큰 절)

 

 

2. 존경의 예경

 

(뿝바바-가나막까-라빠-타

 

 

[인도자]

이제 우리 모두 부처님, 그 존귀하신 분께

먼저 존경의 예를 올립시다.

 

[대중]

그 분 존귀하신분, 모든 번뇌 떠나신 분,

스스로 완전한 깨달음을 이루신 분께 예배드립니다.

 

그 분 존귀하신분, 모든 번뇌 떠나신 분,

스스로 완전한 깨달음을 이루신 분께 예배드립니다.

 

그 분 존귀하신분, 모든 번뇌 떠나신 분,

스스로 완전한 깨달음을 이루신 분께 예배드립니다.

-6-

 

 

3. Buddhābitthuti(붓다-빗투띠)

 

[인도자]

Handa mayaṁ buddhābitthutiṁ karomā se

한다 마양 붓다-빗투띵 까로-마 세-.

 

[대중]

yo so, tathāgato, arahaṁ, sammāsambuddho,

요-소, 따타-가또, 아라항, 삼마-삼붓도-,

 

wijjācaranasampanno, sugato-, lokawidū

위자-짜라나삼빤노-, 수가또-, 로-까위두-,

 

sassamanabrāhmaṇiṁ pajaṁ sadevamanussaṁ sayaṁ

삿사마나브라-흐마닝- 빠장 사데-와마눗상 사양

 

abhiññā saccikatyā pavedesi.

아빈냐-삿치까뜨와 빠웨-데-시.

 

Yo dhammaṁ desesi ādikalyāṇaṁ majjhe kalyaṇaṁ

요 담망 데-세-시 아-디깔르야-낭 맛제-깔르야-낭

 

pariyosaṇākalyāṇaṁ,

빠리요-사-나-깔르야-낭,

 

sātthaṁ sabyañaṁ kelparipuññaṁ parisuddhaṁ

삿-탕 사브얀자낭 께-왈라빠리뿐낭 빠리숫당

 

brahmacariyaṁ pakāsesi.

브라흐마짜리양 빠까-세-시.

 

-7-

 

 

3. 부처님 예찬

 

[인도자]

이제 우리 모두 부처님께 으뜸가는 찬탄의 게송을 올립시다.

 

[대중]

그 분 진리에 이르신 분, 모든 번뇌 떠나신 분,

스스로 완전한 개달음을 이루신 분,

지혜와 덕행을 함께 갖추신 분, 진리의 길 보이신 분,

세상일을 모두 훤히 아시는 분,

어리석은 이도 잘 이끄시는 위없는 분,

모든 천상과 인간의 스승, 깨달으신 분, 존귀하신 분.

 

이 세상과 천상 세계, 마군들과 범천 세계,

 

사문과 성직자, 자손, 천인과 인간을 포함하는 이 세상에

 

대해, 스스로 최상의 지혜로 알아서 널리 가르치신 분,

 

시작함도 훌륭하며, 중간도 훌륭하며,

 

끝맺음도 훌륭하게 이 진리를 설하셨고,

 

핵심적인 의미를 자세하게 설명하셨으며,

 

더할 나위없이 완전하고 뛰어난 청정범행을 나타내셨습니다.

 

-8-

 

 

Tamahaṁ bhagayantaṁ abhipūjayāmi

따마항 바가완땅 아비뿌-자야-미,

Tamahaṁ bhagayantaṁ sirasānamāmi.

따마항 바가완땅 시라사-나마-미.

                                                             (큰 절)

 

 

4. Dhammābitthuti(담마-빗투띠)

 

 

[인도자]

Handa mayaṁ dhammābitthutiṁ karoma se

한다 마양 담마-빗투띵 까로-마 세-

 

 

[대중]

yo do svakkhā-to- bhagavatā dammo

요- 소-, 스왁-카-또- 바가와따- 담모-,

 

sandițțhiko-, akāliko ehipassiko-.

산딧티꼬-, 아깔-리꼬 에-히빳시꼬-,

 

opanayiko, paccattaṁ veditabbo viññūhi.

오- 빠나이꼬 빳짜땅 웨-디땁보- 윈뉴-히.

 

Tamahaṁ dhammaṁ abhipūjayāmi

따마항 담망 아비뿌-자야-미,

 

Tamahaṁ dhammaṁ sirasānamāmi.

따마항 담망 시라사-나마-미. (큰 절)

 

-9-

 

 

그 부처님께 최상의 예경 올리며,

 

그 부처님께 머리 숙여 예배드립니다.

                                                             (큰 절)

 

 

 

4. 담마 예찬

 

 

 

[인도자]

이제 우리 모두 담마에 으뜸가는 찬탄의 게송을 올립시다.

 

[대중]

그분, 존귀하신 분에 의해 잘 설해진 위없는 담마,

 

즉시 확인할 수 있고, 결과 바로 나타나니.

 

와서 보라 초청하여, 닙바나로 인도되는 진리,

 

지혜로운 이 스스로 볼 수 있고 깨달을 수 있는 진리입니다..

 

뛰어난 담마에 최상의 예경 올리며,

 

그 뛰어난 담마에 머리 숙여 예배드립니다.

                                                         (큰 절)

 

-10-

 

 

 

 

출처 : 한국근본불교대학, 초기불교대학
글쓴이 : 한국근본불교대학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