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스크랩] ★目錄(要略보기)

무한대자유 2015. 11. 10. 10:03

 

 

無聞經                잡아함경               제12권           289 → 心 . 意 . 識에 대해서는 어리석고 무지한 범부들은 능히

                                                                                  싫어하고 욕심을 떠나 해탈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優婆塞經             중아함경                  30              128 → 五戒를 가져 잘 지키고 三寶와 淨戒를 호념하여 涅槃

                                                                                  으로 나아갈 것을 말하다.(白衣의 聖弟子)  

先智經                     "                        17              475 → 느낌(受)의 集 . 滅 . 味 . 患 . 離를 관찰함은 過去佛

                                                                                  이래의 모든 수행자가 걸어간 古路임을 말하다.

退不退經                  "                        11              278 → 잘 調伏된 감관을 勝入處라 한다. 감관을 잘 조복하면

                                                                                  그 法을 따라 굴러다니지 않으리라.

魔鉤經                     "                         9              244 → 경계에 맛들이어 집착하는 것이 곧 악마의 갈구리에

                                                                                 그 목이 걸리는 것.

結經                        "                         9              239 → 12處 = 結所繫法 . 欲貪 = 結法임을 설명한 경. 

嬉戱經                     "                    제 50권          1344 → 나쁜 소문을 두려워하여 자살하려는 비구를 천신이

                                                                                  게송으로 만류하다.

廣說經                     "                        26              653 → 四向四果의 차별을 자세히 말하다.

長爪經                     "                        34              969 → 受의 集 . 滅 . 味 . 患 . 離를 알아야 .. 느낌은 무엇을

                                                                                 원인으로 하고 무엇이 변한 것이며 .... 觸의 集은 受 ... 

有我經                     "                        34              961 →  <나>가 있는가? 라는 질문에 無記의 태도를 취하신 후,

                                                                                  나는 언제나 中道에 서서 설법한다며 是事有故 是事有 ...

                                                                                  하여 有無 . 斷常의 邪見을 끊어주신다.    

尿糞經                     "                    제 47권          1263 → 존재(有)를 받음(受)은 곧 苦임을 말한 경. 똥 오줌에 비유.

種子經                잡아함경               제 2권             39 →  카태고리 「行그리고 蘊」의 境識俱泯 7. 에 全文이 수록

                                                                                  되어 있음. 

緣起法經             잡아함경               제 12권          299 → 연기법은 내가 만든 것도 아니요 ... 여래가 세상에 나오거나

                                                                                  세상에 나오지 않거나 法界에 常住하나니 ...

西經                   잡아함경               제 5권            108 → 사문. 바라문. 장자들의 힐문에 이렇게 대답하라.

                                                                                  욕탐을 항복 받으면 물질()이 혹 달라지더라도 근심 .

                                                                                  슬픔 . 번민 등이 일어나지 않을 .. 受 . 想 . 行 ....  

焰摩經                     "                         "               104 → <번뇌가 다한 아라한은 몸이 무너지고 목숨이 끝난 뒤에는

                                                                                  다시는 아무 것도 없다.>는 염마가 비구의 잘못된 所見에

                                                                                  대하여 샤아리풋트라 존자는 有身見을 해소해 줌으로써

                                                                                  벗어나게 한다.

須達經                     "                        16              435 → 四聖諦는 점차로 알게 되는 것 ... <苦聖諦에 대하여 밝게 알지

                                                                                  못하면서도 苦集聖諦 . 苦滅聖諦 . 苦滅道聖諦를 밝게 안다>고

                                                                                  말한다면 그 말은 맞지 않느니라.

孔經                        "                        15              405 → 한 개 털을 쏘아 화살마다 다 맞추는 것이 괴로움의 진리(苦聖諦)

                                                                                  에 대하여 참다운 앎이 생기는 것만은 못하느니라. 그와 같이 ...

無常經                     "                         1                1  → 물질(色)은 항상됨이 없다(無常)고 관찰하라. 이렇게

                                                                                  관찰하면 바른 관찰(正觀)이니라. ... 즐겨하고 탐하는

                                                                                  마음이 없어지면 마음의 해탈(心解脫)이라 하느니라.

祇林經                     "                        10              269 → 너희들에게 적당하지 않은 법이거든 마땅히 다 버리고

                                                                                  떠나라. 그법을 버린 뒤에는 긴 밤 동안에 안락하리라.

闡陀經                     "                        10              262 → 法을 보고 깨닫고 열반을 얻는 무언가 주체(自我)가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혹을 有無中道를 보임으로써

                                                                                   얻음이 없는 것(無得正觀 : 無心合道)이 곧 覺 . 涅槃 .

                                                                                   解脫임을 보여 自我에 대한 최후의 一念을 놓아 버리게

                                                                                   한다.

闡陀經                     "                        47            1266 → 찬나 비구의 병과 사리불의 문병. 五蘊의 無常을 말하다. 

滅經                        "                        10              260 → 멸(滅)이란 무엇이며, 어떤 것이 滅하는가? 샤아리풋트라여,

                                                                                  다섯 가지 쌓임(五受陰)은 원래 행(行)이 지은 것이요,

                                                                                  원래 생각(思)이 원한 것입니다. 이것은 덧없어 멸하는 법이니,

                                                                                  그 법은 멸하기 때문에 이것을 멸(滅)함이라 합니다. 

甚深經                     "                        12              293 → 空과 相應하는 緣起 를 수순 하는 법을 .. 이른바 이것이 있기

                                                                                  때문에  ... 일체의 잡음(取)에서 떠나 욕망이 다하고 욕심이

                                                                                  없어 적멸하고, 열반하는 것 ... 지어감의 괴로움이<寂滅 :

                                                                                  心行處滅>하고 ...... 

思量經                     "                        12              292 → 12연기 낱 " 支마다 因과 集을 살펴 그 원인 을 滅해

                                                                                  明을 내고는 .......

廣說八聖道經            "                        28              785 → 八正道를 世間과 出世間으로 나누어 자세히 설하다.

世間邊經                  "                         9               234 → 六入處의 集 ~ 離를 참다이 아나니, 이것을 거룩한

                                                                                  제자가 世間 끝에 까지 이르러 세간을 알아 .... 

同法經                     "                        17              464 → 일체의 行을 끊으면 斷界 . 일체의 行을 멸하면 滅界 ..

                                                                                  이를 성취하는 수행법은 止 . 觀(四念處觀) ......

伽摩經                     "                        21              568 → 죽음(死)과 滅盡定의 다른 점을 말함 ...身 . 口 . 意의 行만을

                                                                                  滅하는 것이 滅盡定 ... 이를 성취하는 수행법은 止 . 觀 ... 

利犀達多經               "                        21              570 → 여러 所見들은 모두 身見을 근본으로 하고, 身見이

                                                                                  원인이며, 身見에서 생긴 것이요 ..... 

波羅門經                  "                        21              561 → 아란 존자여, 무엇을 의지해 貪愛를 끊습니까. 바라문이여,

                                                                                 < 욕()을 의지해 貪愛를 끊는다. > .. 탐애가 없어지면

                                                                                  그 欲도 또한 쉰다.

純陀經                     "                        24              638 → 샤아리풋트라의 열반 ... 만일 저기에 샤아리풋트라가

                                                                                  있으면 저기에서 나는 곧 일이 없을 것이다.... 마땅히

                                                                                  스스로 피난처가 되어 ...... 四念處 닦는 것이 곧 자신

                                                                                  을 의지하는것.     

那羅乾陀經               "                        18              498 → 세존이시여, 저는 능히 과거, 미래, 현재의 모든 부처, 세존의

                                                                                  마음의 한정 을 알지 못하나이다. 그러하오나 저는 능히 모든

                                                                                  부처 세존의 법의 한정 은 알 수 있나이다. 사리불존자가

                                                                                   法의 한정을 알 수 있다고 한 것은, 부처님의 說法은 모두

                                                                                  衆生들의 苦 ~ 解脫과 관련해서 說해지기 때문이다. 즉 四聖諦

                                                                                  가 오직 하나의 衆生들이 드나드는 이며, 사리불존자도 이 門

                                                                                  을 통하여 解脫을 成就하였기 때문이다.   

止息經                     "                        17              474 → 三受(苦 . 樂 . 捨)를 말하고, 왜 일체 느낌은 모두 苦라

                                                                                  하는가? 일체의 지어감(諸行)은 변하고 바뀌는 법(無常)

                                                                                  이기 때문에 모든 느낌은 다 괴로움 ....

禪經                        "                        17              473 → 나는 一切의 지어감(行)은 덧없고 일체의 지어감은 변하고

                                                                                  바뀌는 법이기 때문에 모든 느낌()은 다 괴로움 이라고

                                                                                  말하였느니라.

闇冥經                     "                        16              424 → 이른바 사문이나 바라문으로서 괴로움의 진리(苦諦)에

                                                                                  대하여 참다이 알지 못하면 ... 이것은 비구의 큰 어두움이

                                                                                  있어 世界  中間의 어두움보다 더한 것이라 하느니라.

阿羅漢經                  "                        22              581 → 만일 阿羅漢 비구로서 스스로 할 일을 이미 마치고 모든

                                                                                  번뇌 이미 다하여 그 마지막 몸을 가졌었다면 <나>가 있고

                                                                                  <내 것>이라 말하더라도 거기에는 아무 허물이 있을 수

                                                                                  없느니라.

非汝所有經               "                        12              295 → 이 몸은 너의 소유(非汝所有)도 아니요 또한 남의 소유도

                                                                                  아니니 이른바 여섯 감관으로서 본래부터 닦고 행한 원(願)이

                                                                                  이 몸을 받은 것이다.

가전연경                  "                        12              301 → 觸을 인연으로 有 . 無 등 모든 邪見이 일어남을 보이고

                                                                                  두 극단을 떠난 中道에서 큰 괴로움의 무더기가 滅 ...

大樹經                     "                        12              284 → 만일 잡음 하는 법(所取法)을 따라 맛들여 집착하며, 돌아 보고

                                                                                  생각하여 마음을 묶으면, 그 마음이 휘몰아 달리면서 정신과

                                                                                  물질(名色)을 쫓느니라.

六入處經                  "                         3               68  → ... 이와 같이   耳 . 鼻 . 舌 . 身 . 意를 반연함도 그러하여...

                                                                                  意와 法을 반연하여 意識이 생김이라 三事和合하여 生觸하나니..

                                                                                  촉을 반연하여 느낌이 생(緣觸生受)기며 ...

懷受經                     "                        45              1212 → 이 5백 비구중에서 90비구는 三明 . 90비구는 俱解脫

                                                                                   319비구는 慧解脫 나머지 1비구 無知證 .. 그러므로

                                                                                   허물이 없는 대중 ......

七處經                     "                        2                42 → 七處善 즉 知色 . 色集 . 色滅 . 色滅道跡 . 色味 . 色患 . 色離 를

                                                                                  참다이 알며, 受 . 想 . 行 . 識에 있어서도 ... 心解脫~慧解脫 하여

                                                                                  현재에서 스스로 알고 몸으로 증득하여 ....

涅槃經                     "                        1                28  → 물질을 싫어하고 욕심을 멸하고 모든 번뇌를 일으키지 않아

                                                                                  마음이 바로 해탈하면 이것을 이름하여 비구가 " 法을 보아 涅槃을

                                                                                  얻는 것 " 이라 하느니라.

封滯經                     "                        2                40  → 四取陰을 반연하여 이 머무나니 에 집착(封滯)하여

                                                                                   의식이 머무르고, . . 에 집착하여 의식이

                                                                                   머무른다 .... <境識俱泯 5에 漢譯全文수록.>

長者經                     "                        5                107 → 五蘊의 集 . 滅 . 味 . 患 . 離를 알아야 ... <나>다 <내 것>

                                                                                  이다 라고 보지 않는다. 이것이 마음이 병들지 않은 것 ..

非我經                     "                        1                 17 → 너의 알맞지 않은 법 은 빨리 끊어 버려야 하나니 ...

                                                                                  그 법을 끊어 버리면 ... 세존이시여, 물질(色)은

                                                                                  나의 소유가 아닙니다. 수 . 상 . 행 ...

五下分結經         중아함경                   56               205 → 만동자의 五下分結을 받아 가진다는 그릇된 所見을 바로

                                                                                   잡아 주신다. 아무 생각이 없이 있다고 하여도 "그 성질이 번뇌"

                                                                                   이기 때문에 짐짓 <욕심의 번뇌>라고 하는 것 ... 버림(捨)의

                                                                                   참 모양을 말하여 有身見등을 끊고 ...

諸法本經            중아함경                   28               113 → 모든 법은 욕심이 근본이 된다(一切諸法  以欲爲本)... 집을

                                                                                   나와 도를 배우려는 마음을 익히려면 무상(無常)하다는 생각

                                                                                    을 익히고 ...

漏盡經               중아함경                    2                      → 앎으로써, 봄으로써 모든 번뇌가 다할 수 있다 ... 有漏를 끊는

                                                                                   가지  " 방편을 자세히 설하고 ... 三結을 끊고 須陀洹을 .....

念處經               중아함경                   24                98 → 四念處觀에 대한 자세한 설명 ... 序分 . 正宗 . 流通으로 나누었다.

                                                                                  불교신문에 실린 사념처에관한 기사 수록.

茶帝經              중아함경                    54               201 → 윤회의 주체 없음을 말하며 身見 . 我愛 . 我見을 제거하고,

                                                                                   法無所着을 말하여 無上菩提로 나아가게 한다. 十二緣起의

                                                                                  다양한 모습을 볼 수 있다.   

息止道經           중아함경                    34               139 → 처음 戒를 잘 갖추려면 이 몸의 썩고 문드러지는 모습을 관찰하여

                                                                                   음욕과 성냄을 극복하는 것이 빠른 길이며, 그로부터 고통의 끝을

                                                                                   보게 되리라.

何義經              중아함경                    10                42 → 持戒로 부터 安樂 - 止身 - 定心 - 智慧 - 厭 - 無欲 - 解脫의 과정을

                                                                                  친절히 설명한다.          

四諦品              증일아함경                 17                25 → 첫째는 괴로움의 진리이니, 그 이치는 끝이 없어서

                                                                                  생각으로도 다할 수 없고 말로도 다할 수 없다 ....

安般品              증일아함경                  7                  1 → 라아훌라(羅雲)를 위하여 隨息觀을 설하다. 마음을

                                                                                   코끝에 매어 두고 날숨이 길면 긴 줄을 알고 .....

佛說摩登女解形中六事經        阿含部에 속하는 經                수능엄경의 중요한 소재가 된 經이다. 몸의 否淨하고 無常함을 보여

                                                                                   마등여로 하여금 아라한의 道를 얻게 한다.

佛說七處三觀經                                "                             五蘊을 色 . 受 . 想(行識)의 세 묶음으로 나누고 七重으로 그것을

                                                                                    觀하여 결박을 풀고 해탈케 한다.

緣起經                                            "

佛說戒德香經                                   "

佛說五蘊皆空經                                "

 

我盡經           잡아함경                      6                     116 → 물질(色)에서 <나>와 >내 것>을 보면 我慢의

                                                                                      使者는 나를 결박할 것이요, 受 . 想 . 行 ......

盡欲愛憘經           "                           6                     119 → 물질(色)에는 욕망과 사랑과 기쁨이 있다. 만일 그것이

                                                                                      없어지면, 욕심을 떠나 마음은 지극히 고요해질 것이다.

                                                                                       受 . 想 . 行 . 識에는 욕망과 사랑과 ....

魔經                    "                           6                     120 → 모든 물질(色)로서, 과거거나 미래거나 현재거나,

                                                                                       안이거나 밖이거나 .... 악마의 짓이라고 관찰하라.

                                                                                       또 모든 느낌 . 생각 . 지어감 ......... 

有身經                 "                           6                     123 → 간략히 法의 욧점을 ... <존재(有)>의 몸과 그의

                                                                                      集 . 滅 . 滅道跡을 .. 라아다여, 알고 닦아서 끊으면

                                                                                      절대의 평등 을 깨달아 ......

生死流轉經           "                           6                     133 → 물질(色)에서 <나>를 본다. 그래서 ... 五蘊과

                                                                                       六入處에서 <나>를 봄으로 . 에 바퀴 .....

六觸入處經           "                           8                     209 → 六觸入處集 . 滅 . 味 . 患 . 離 를 참다이 알지

                                                                                      못하면 .. 그것들은 <나>도 아니요 <다른 나>도

                                                                                      아니다. ... 未來法은 다시는 일어나지 않나니... 

長者所問經           "                           9                     237 → 눈의 <의식(眼識)>이 빛깔에 대해서 사랑하고 생각

                                                                                      하며 물들어 집착하면 ... 항상 <의식>을 의지하여

                                                                                      결박됨으로써 ........

無明經 2.             "                           10                    257 → 無明이란 五蘊의 集 . 滅 . 滅道跡을 모르는 것

                                                                                      이라고 샤아리풋트라가 설명한다.

無間等經              "                          10                     259 → 아라한도 또한 " 이 五蘊法은 병이 되고 종기

                                                                                       가 되며 .... <나>가 아닌 것" 이라고 ... 얻지

                                                                                       못한 것을 얻기 위해서요 증득하지 못한 것을

                                                                                       증득하기 위해서 ..... 

棄捨經                 "                          11                     274 → 너의 所有가 아닌 것(五蘊)은 다 버려야 한다.

                                                                                       그 법을 다 버린 뒤에는 긴 밤 동안에 안락하

                                                                                       리라.

調伏經                 "                          11                     279 → 여섯 감관(六根)을 잘 調伏하여 평등하게 苦

                                                                                       와 樂을 다 버리고 生死海를 건너가리라.

因緣經                 "                          12                     296 → 因緣法 . 緣生法을 잘 아는 거룩한 제자는 내

                                                                                       과거 세상은 혹은 미래는 어떠한가. 여기서

                                                                                       사라지면 어디로 가나....   凡俗한 소견을 일

                                                                                       으켜 아상.인상.수자상 등을 일으키지 않는다. 

法說義說經          "                           12                     298 → 12緣起의 낱낱 相을 설명한다. 無明을 의존한

                                                                                       중생들의 삶(허구적 존재)에 自相이 없음

                                                                                       보여 일체의 障碍를 벗어나게 한다. 

六六經                "                           13                     304 → 六六法은 곧 生滅法이다. 그것들에서 <나>를

                                                                                       보지 않으면 이를 <열반>을 향하는 것이라 한다. 

箭經                   "                           17                     470 → 苦樂의 느낌에 대하여 범부는 無知하여 貪嗔

                                                                                       痴를 내어 부림(使)을 받고, 많이 아는 수행자

                                                                                       는 물들지 않기 때문에 부림을 받지 않는다...

                                                                                       그래서 중생의 무리(數)에 떨어지지 않는다. 

鄙心經                "                           16                     445 → 衆生은 언제나 境界와 함께 하고 境界와 和合

                                                                                       하느니라. 더러운 마음을 가질 때에는 더러운

                                                                                       境界와 함께하고 ..... 

三摩提經             "                           15                    368 → 삼마제를 닦아 알뜰히 생각을 잡아 매면 緣起法이

                                                                                      밝게 나타난다.                     

思量經 2.            "                            14                    360 → 망상으로 인하여 부림(使)에 반연하여 의식이

                                                                                      머물고 정신(名)과 물질(色)에 결합한다....     

須深經               "                            14                     347 → 법에 머무르는 지혜(法住智)를 먼저 얻고 뒤에

                                                                                      <열반>을 알아 慧解脫阿羅漢을 얻는다. 이는

                                                                                       定을 완전히 하지는 못하였지만 無漏智를 통해

                                                                                       번뇌를 滅하고 .. 後身을 받지 않을 줄을 아는 .. 

集生經               "                            14                     345 → "사리불이 잘 法界에 들어갔다." 부처님의 질문에

                                                                                       대답을 하지 못한 사리불이 잠깐의 良久 끝에

                                                                                       사자후를 하자 부처님이 인가하다. 

眼內入處經         "                            13                     322 → 눈으로 색을 볼때 "보는 마음"이 생겨 <보고 듣는

                                                                                       自我>를 想定하지만 이는 因緣所生法 ....

摩羅迦舅經        "                             13                     312 → 만일 눈으로 온갖 색깔 보고는 바른 생각 잃어

                                                                                       버리면 그는 그가 본 색깔에 대하여 사랑하고 ..

婆頭經               "                            21                     565 → 네 가지(戒 . 心 . 見 . 解脫)가 淸淨하면 苦痛의

                                                                                       種子가 끊어진다. ......

分別經               "                            26                     647 → 五根 .. 信 . 進 . 念 . 定 . 慧 를 설명한다.

樹經                  "                             "                      708 → 道에서 마음이 물러나게 하는 五蓋를 설명하고,

                                                                                       지킴이로 七覺支를 소개한다.

安那般那念經      "                            29                     803 → 비구들을 위하여 四念處를 겸하는 隨息觀

                                                                                       설하다.  

初 ~ 四禪經        "                            31            864 ~ 870 → 色界四禪에서 五蘊을 觀하고 甘露法을 의지해서

                                                                                       般涅槃을 얻는다.

四正斷經            "                            31                     879 → 斷斷 . 律儀斷 . 隨護斷 . 修斷의 네 가지 바른 끊음을

                                                                                       말씀하시다. 

六內入處經         "                            31                     892 → 六內入處에 대해서 信行 . 法行의 忍을 닦으면 목숨을

                                                                                       마치기 전에 須陀洹果를 얻고 ...... 

尸婆經               "                            35                     977 → 五蓋로 인하여 마음에 근심과 괴로움이 생긴다... 그 탐욕의

                                                                                       결박을 떠나면 ... 시기를 기다리지 않고 통달하여 ...                                                                                        "세상은 진실하여 허망한 것이 아님"을 도외시 하고 오직

                                                                                       唯心的인 그리고 보상원리에 종속된 因果論으로 세상을

                                                                                       보는 外道의 邪見을 물리치다.

疾病經              "                             37                   1025 → 임종이 임박하였으나 아직 見道하지 못했음을 근심하는

                                                                                       비구를 위하여 六入處의 集 . 滅 등을 설하시다. 

給孤獨經 3.        "                             37                   1032 → 六內入處 . 六外入處 . 六界 . 五蘊에 집착하지 않으면,

                                                                                       그것들의 경계에 의한 貪欲의 알음알이(識)가 생기지

                                                                                       않는다.    

復瘡經               "                            39                    1082 → 愛欲을 앓는 종기(瘡)라 한다면, 온갖 나쁜 생각과 탐욕과

                                                                                       즐겨하는 마음은 구더기 파리 ...     

衲衣重經            "                            41                    1142 → 반자리(半座)로 迦葉을 청하신 세존께서는 가섭의 큰 덕이

                                                                                       세존과 같음을 설하신다.

無爲法經            "                            31                     890 → 貪 . 嗔 . 痴의 번뇌가 아주 다한 것이 곧 無爲法이니라 ...

黃麥經               "                            43                    1168 → 마치 보리 타작하듯, 여섯 가지 닿임 감관은 끊임 없이

                                                                                       두드려 맞는다. .... 그것을 <나>라 하면 흔들림(動搖).....

赤馬經               "                            49                    1307 → 世界는 곧 五蘊, 미래 존재에 대한 사랑은 世界의 쌓임 ...

                                                                                        욕심이 없고 아주 없애 버리면 世界의 사라짐 ..............

劫貝經               "                            50                    1359 → 욕심의 번뇌 ... 낮에도 해골의 춤을 보거니 밤이 되면

                                                                                        무엇을 보지 못할까 ...

誦習經               "                            50                    1337 → 부지런히 경전을 외우고 강설하고, 부지런히 노력해

                                                                                       생각하여 阿羅漢果를 얻었다. ... 이미 도(道)를 알아

                                                                                       갖추었거니 듣고 보는 길 무엇에 쓰랴 .......... 

箭毛夜叉經     別譯雜阿含經               15                           → 부처님이 자신의 집에서 주무신다는 전갈을 받은 箭毛

                                                                                        夜叉는 부처님을 시험해 보기로 한다.

 

  

  法界性                                           緣起 ....... 비구들이여, 無明을 조건으로 하고 있는 行, 실로 그곳에 있는 것은

                                                     眞如이며, 眞實性이며, 不變異性이며, 條件性이다. 비구들이여, 이것을 緣起라고

                                                     부른다.....

茶帝經의 名句                                  " 識은 輪廻의 主體가 아니다.(識도 報일 뿐) " 라는 내용으로서 저 유명한

                                                      < 有業報而無作者 : 중아함 제54권 201茶帝經 . 잡아함 335第一義空經>라는 名句를

                                                     보여 준다.  

四相이야기                                      有身見을 바탕으로 일어나는 네 가지 그릇된 見 에 대한 몇 가지 생각들 ......

色에 대한 ..                                     , 그것은 최초 一念이며 世間의 시작 ..... 그리고 苦의 발생에 관한 불교의 관점... 

動搖하는 마음                                   非汝所有經과 三細六추로써 설명 ... 불안하면 불안하지 않기 위해서 멈추어야 하는데

                                                     그 멈추는 방법이 무엇인가 대상을 찾아서 그 대상에 머무는 것이다. ... 불안한 심리

                                                     자체가 중생이 머무는 경계이다.

箭喩經이야기                                   이중표 교수의 "아함의 중도체계"에서 ... 독화살에 맞은 것처럼 邪見에 빠져 있는 상황 

                                                     화살을 뽑듯이 邪見을 버리는 것이 生死에서 벗어나는 바른 길(中道)이며, 이것이

                                                     진정한 철학 ...   

見火가 타고 있다.                             外道들의 認識(邪見)의 출발점은 있다(有 : 第一義的 存在에 대한 문제)는 독단으로

                                                     부터 ..........  

諸行無相                                         김재성 교수의 "초기불교산책 2"에서 ... 存在가 의지하는 것, 존재를 가능하게 하는

                                                     집착이라는 힘, 또는 그 집착에 의해서 생겨난 소유물이나 존재 자체를 윤회의 뿌리

                                                     라고 ... 그러한 것들이 모두 소멸되어 버린 상태를 열반 ...............    

三法印이야기                                   三細六추와 12緣起를 통해서 衆生이 머무는곳과 방법을 보이고 三法印을 설명한다.

                                                     또 " 三法印은 五蘊을 보는 눈(眼) " 이라는 김재성 교수님의 강의 내용을 실었다..... 

生滅하는 마음                                  六入處의 集 ~ 離를 잘 관찰하며, 四念處에 머무르며, ... <般涅槃>의 뜻을 풀이 ...  

四聖諦                                            불교학대사전의 설명을 옮김.

四善根位                                               "            "           "           

十六比丘經       잡아함경   2권           걱정 . 슬픔 . 번민 . 괴로움 등이 생기고 자라고 더하는 모습을 살펴(오온의 무상) 마음의

                                                     해탈을 얻으라.  

尸羅經            잡아함경 제45권       1202경→ 여러 가지 재목이 모인 것을 수레라 하는 것처럼, 五蘊의 무더기 를 잘못 알고

                                                               自我 라고 생각하는구나 ...    

優陀羅經         중아함경 제 28권      113경 → 비구의 바른 관찰에 대하여 부처님께서 말씀하시다.                                                     

 

 

                                        

출처 : 如少水魚
글쓴이 : 풍진객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