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스크랩] 피해망상 자격지심을 아비달마로 보면?

무한대자유 2012. 8. 30. 11:08

열등감 또는 콤플렉스

대부분의 사람들은 한두 가지 콤플렉스를 가지고 있다.

그 콤플렉스가 자신감을 잃게 하고 주눅이 들게 하고 능력 발휘를 막는다.

이런 열등감은 어디서 오는 걸까?

禪적인 측면에서 논하면 열등감은 분별심에서 온다.

남과 자신을 비교하고 남보다 못하고 가치 없다고 여기는 분별심이 문제라는 것이다.

분별이 없으면 열등감이 없으므로 분별을 일으키지 않으면 된다.

그러나 이게 어디 마음대로 되는 것인가?

아비담마에서 열등감은 어떻게 설명하고 있는가?

52가지 심소 중에서 열등감이라는 심소는 없다.

가장 가까운 심소를 찾는다면 자만이 있다.

 

 

자만을 4가지 측면에서 분석해보면

심소(마음부수)

특징

역할

나타남

가까운 원인

자만(māna)

오만함

건방짐

허영심

사견과 분리된 탐욕

 

 

자만은 남보다 우월하다는 우월감이며 열등감도 이에 해당한다.

왜냐하면 남보다 뛰어나고 우월감을 즐기고 싶지만 현실이 그렇지 못하여 느끼는 좌절감이 열등감이이기 때문이다.

열등감을 아비담마적으로 분석해보면,

심소(마음부수)

특징

역할

나타남

가까운 원인

열등감

남보다 못하다는 생각

좌절감

**

콤플렉스 또는 분별심

 

 

**나타남**

움츠리고 위축되고 소심함, 자신감 결여로 나타난다.

현실을 지나치게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것으로 나타난다.

현실에 대한 저항으로 나타난다.

자신의 주위에 방어벽을 치고 대인기피증으로 나타난다.

말이 없음으로 나타난다.

망상이 많음으로 나타난다.

남보다 우월하다는 생각으로 나타난다.

 

프로이드의 이론에 따르면, 열등감의 방어기제(reaction formation)로 부정, 전위, 합리화, 승화, 억압, 반동형성, 투사, 대행, 동일시 등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그러면 열등감을 어떻게 이겨내야 하는가?

열등감을 이겨내는 방법은 열등감에 대한 마음챙김이다.

마음챙김은 두 가지로 진행된다.

 

첫 번째는 나타나는 현상을 알아차리는 것이고 두 번째는 현상의 원인을 살펴보는 것이다.

먼저 위축감, 부정적인 마음들, 저항의식, 대인기피증, 우월감, 말이 없음, 망상 등이 일어나는 것을 알아차린다.

다음에 이런 현상들이 일어난 배경, 즉 원인이 열등감이라는 것을 관찰한다.

이후로 이런 현상들이 일어날 때마다 열등감으로 인해 일어난다는 것을 알아차리고 열등감을 충분히 이해한다.

열등감이 내 안에 있다는 사실을 부정하려들거나 악압하려들면 영원히 열등감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오직 사실을 직시할 때 열등감에서 벗어난다.

저항하지 말고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야 한다.

내면의 어두운 부분을 받아들이고 이해하여 밝은 부분으로 바꾸면 더 이상 열등감으로 인해 괴로움을 겪지 않으리라.

출처 : ひきこもり Marsの ほしひかり 夢
글쓴이 : ほしひかり sunny 원글보기
메모 :